만 4,314톤. <br /> <br />언뜻 생각해도 엄청난 무게이죠, <br /> <br />혹시 무얼 의미하는지 아시나요? <br /> <br />지난 2019년을 기준으로 단 하루 동안 국내에서 발생하는 음식물 쓰레기의 무게입니다. <br /> <br />한해를 기준으로 보면 무려 500만 톤이 넘습니다. <br /> <br />그런데 이렇게 버려지는 음식물 쓰레기의 절반 이상은 '유통 기한' 때문입니다. <br /> <br />유통 기한을 꼼꼼히 따지다 보니 아예 뜯지도 않고 버리는 경우도 적지 않은데요. <br /> <br />해묵은 숙제를 해결하기 위해 식약처가 어제, '유통기한' 대신 '소비 기한'을 표시하는 방안을 추진하겠다고 밝혔습니다. <br /> <br />사실 오래전부터 거론된 내용이지만 식약처의 발표로 다시 논의가 본격화할 것으로 보입니다. <br /> <br />소비 기한의 의미가 생소한 분들도 많으실 텐데요, <br /> <br />규정된 보관 조건을 유지하면서 소비할 경우, 소비자 건강에 이상이 없는 기한을 뜻합니다. <br /> <br />제품의 제조일을 기준으로 유통과 판매가 허용되는 '유통 기한' 보다는 길어질 수밖에 없는데요 <br /> <br />구체적으로 얼마나 차이가 있을까요? <br /> <br />네 보시는 것처럼 현재 우유의 유통 기한은 열흘이지만 소비 기한은 60일로, 50일이나 길어지고요, <br /> <br />치즈는 70일, 두부는 석 달이 지날 때까지도 잘 보관만 한다면 먹을 수 있게 됩니다. <br /> <br />소비 기한을 도입한 국가는 쉽게 찾아볼 수 있었습니다. <br /> <br />유럽연합 EU를 비롯해 캐나다, 영국, 일본 등은 유통기한 표기를 없애고 소비기한을 사용하고 있고요, <br /> <br />유통기한과 소비기한을 모두 사용하는 미국의 경우는 식품의 특성에 따라 업체가 자율적으로 표기할 수 있도록 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물론 반대 목소리도 있습니다. <br /> <br />낙농이나 유제품 업계는 자칫 변질 사고가 일어날 수 있다며 공식적으로 반대 입장을 밝혔습니다. <br /> <br />사실 국회에도 소비 기한을 도입하는 법안이 발의된 상태인데요, <br /> <br />하지만 식품의 안전성에 대한 추가 연구가 필요하다는 이유로 제동이 걸린 상황입니다. <br /> <br />이렇게 찬반 양론이 팽팽한 상황에서 과연 이번에는 어떻게 결론이 날까요? <br /> <br />국민의 일상생활에 큰 변화를 가져오는 제도인 만큼 귀추가 주목될 수밖에 없습니다.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3_202105311435004321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